
우리가 행동할 때 감정이 많은 부분에서 우리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그 세부적인 개념을 이해하면 어느 정도 좀 더 의식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정서Emotion
일반적으로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개인의 생각, 태도, 감정, 경험, 행동 등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기쁨, 슬픔, 분노, 불안과 같은 감정들은 개인의 정서를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정서는 일반적으로 감정의 종합적인 상태로 생각할 수 있다. 정서는 감정들이 서로 작용하며 형성되며, 개인의 개념, 가치,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상태가 나타난다.
감정Feeling
감각적인 현재의 경험에 대한 반응으로서 일시적이고 특정한 상황에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감정은 주로 신체적인 변화, 심리적 경험 및 행동 변화와 관련이 있다. 정서와 정동을 인지적으로 인식하고 인지적으로 처리한 결과물로써, 주관적인 경험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공포감을 느낄 때 심장이 빨리 뛰고 숨이 가쁘게 되며 높은 음성으로 소리치거나 도망칠 수도 있다.
정동Affect
더 강렬하고 감정적으로 충격적인 상태나 잠깐 동안 감정이 과도하게 증폭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주로 현재 또는 최근에 발생한 상황에 대한 강한 감정적 반응이나 일시적이고 특정한 상황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며, 강렬한 신체적, 심리적 반응을 동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자기 나타난 좌절감, 분노의 폭발, 혹은 격렬한 행복감 등은 정동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감정의 강도와 에너지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특정한 순간 또는 단기간에 표현된다. 개인이 몇 일 동안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 이는 그들의 정동이 우울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충동Impulse
감정이나 충동적인 행동으로 나타나는 강렬한 파동이나 강한 욕구이다. 충동은 주로 갑작스러우며, 자기 통제능력을 잠시 잃을 수 있다. 이는 감정이나 용구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으로서, 합리적인 판단보다는 본능과 욕구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충동적으로 어떤 유혹에 대해 반응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취할 때, 이는 충동적인 반응일 수 있다.
요약하면
정서는 일상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낸다.
감정feeling은 신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감각적 느낌들이다.
정동은 더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기분이나 감정적 상태를 나타낸다.
충동은 감정이나 욕구에 대한 강렬하고 즉각적인 반응으로서 자기 통제를 잠시 잃을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다른 시간적 특징, 지속성, 자기 통제 수준과 정도로 나타난다.
자기통제 수준은 훈련, 자기 교육, 심리적인 안정성 강화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인지적인 전략, 스트레스 관리 기술, 감정 조절 방법 등을 배우고 연습하여 자기 통제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인 지원과 상담이 개인의 자기 통제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자기 통제 수준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발전 가능한 역량이라는 점이다. 개인은 학습과 성장을 통해 자기 통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감정적인 안정과 행동의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간성을 통한 정서와 기억
기억Memory
기억은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과거의 정서, 정동, 감정, 충동을 기억할 수 있다. 기억은 특정한 경험을 기록하고 보존하며 나중에 회상하거나 참고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정서적인 사건이나 감정적인 경험이 기억에 잘 남아, 향후 행동과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서는 일반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기도 하나 과거의 기억과 관련이 깊다.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특정 상황에서 특정한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과거에 어떤 상황에서 슬픔을 느꼈다면 비슷한 상황이 다시 발생하면 그 사람은 슬픔을 느낄 수 있다. 이는 과거 기억이 정서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예이다.
정동은 감정의 강도가 높고 일시적인 감정적 반응을 의미한다. 기억은 과거의 정서, 정동, 감정, 충동을 기록 보존하여 회상하거나 참고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과거의 기억과 관련있는 정서와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감정의 미묘한 차이, 분명한 선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이다.